종합주가지수
종합주가지수는 주식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지수로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
종합주가지수 산출 방식
우리나라의 종합주가지수(KOSPI)는 증권거래소가 1964.1.4일을 기준시점으로 다우존스식 주가평균을 지수화한 수정주가 평균지수를 산출,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다우존스식 주가지수는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상장종목 중 일부 우량주만을 선정하여 산출하는 방식이다.
그 후 시장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1972.1.4일부터는 지수의 채용종목을 늘리고 기준시점을 변경한 한국종합주가지수를 발표하였고 매년 지수의 채용종목수를 변경하여 왔다.
그러나 증권시장의 지속적 발전과 함께 증권분석의 새롭고 다양한 이론이 등장하면서 다우존스식 주가지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계속 노출됨에 따라 거래소는 시장 전체의 전반적인 주가동향을 보다 정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1983.1.4일부터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로 전환하여 산출, 발표하고 있다.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는 일정시점의 시가총액과 현재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판단하는 방식이다. 즉, 지난 1980년 1월 4일 기준 상장종목 전체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보고 현재 상장종목들의 시가총액이 어느 수준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종합주가지수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 기준시점의 시가총액) × 100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증권시장지표 중에서 주식의 전반적인 동향을 가장 잘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이다.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투자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비교척도, 경제상황 예측지표로도 이용된다.
증권거래소는 1964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다우존스식 주가평균을 지수화한 수정주가 평균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하였는데, 점차 시장규모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1972년 1월 4일부터는 지수의 채용종목을 늘리고 기준시점을 변경한 한국종합주가지수를 발표하였다.
증권시장에서 형성되는 개별주가를 총괄적으로 묶어 전체적인 주가를 나타내는 지표. 기준 시점 1980년 1월 4일의 주가 기준을 100으로 하여 비교시점의 주가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우리나라의 현행 종합주가지수는 시가총액 방식으로 주가지수를 산출, 발표하고 있다. 종합주가지수 이외에 산업별 지수·제조업 주가지수·시장 1,2부 지수와 소형·중형·대형주별 지수가 있다.
#종합주가지수